posted by 내.맘.대.로 2017. 6. 2. 13:03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긴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국내 유통사는 EPUB2에서 ruby, aside, mark 등의 태그를 허용합니다. 하지만 이 태그는 EPUBCheck로 검사하면 오류가 나기 때문에 구글 플레이북 같은 곳에 등록하려면 EPUB3로 변환을 해야합니다. 

 

아래 내용은 2017년 기준입니다. sigil 플러그인 epub3-itizer를 사용하면 클릭 한번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EPUB2, EPUB3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많은 분들이 'EPUB3는 멀티미디어를 포함한 콘텐츠' 정도로 막연히 알고 있습니다. 동영상이나 MP3가 포함되면 EPUB3고 그렇지 않으면 EPUB2라는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알고 있다면 '완전히' 잘못 알고 있는 것입니다.

 

EPUB2와 EPUB3를 구분할 때 멀티미디어(동영상, MP3등)의 포함 여부는 '전혀' 중요하지 않습니다. 

 

정확히 EPUB2와 EPUB3의 차이를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너무 많은 요소들이 섞여있기 때문에 몇줄로 이 둘을 규정할만한 설명을 하는건 불가능합니다. 이 둘의 차이를 가장 명확히 설명해 놓은 문서가 IDPF에서 관리하고 있는 EPUB2.0.1EPUB3.0.1 표준 명세서인데 이 내용을 제대로 읽고 이해하기는 어렵지요. 그리고 전자책 편집자라 해도 이 내용을 알 필요는 없습니다.

 

어렵긴 하지만, EPUB2와 EPUB3의 차이를 정리해 보면 이렇습니다.

구분   EPUB2(2.0.1) EPUB3(3.0.1)
 HTML  XHTML 1.1 사용   HTML5 사용(하위 버전 포함)
 CSS  CSS2.0   CSS2.1, CSS3 (하위 버전 포함)
 스크립트 등  미지원   지원(스크립트, MathML, 미디어오버레이 등)
 목차  NCX 파일   XHTML 파일 
 뷰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흑백 디스플레이를 고려함 - 외부 링크, 멀티미디어, 색상 등에 제한이 있음.  EPUB2이전 버전을 지원(을 권장)하고 광범위한 콘텐츠 유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렇게 정리를 해도 복잡하지요? XHTML은 뭐고 HTML5는 뭔지, CSS2는 뭐고, CSS3 는 뭔지, 이런 것들이 외계어처럼 해석이 안되는 분들이 많을거예요. 오늘 설명드리려는 내용은 사실 이런 내용과 별 상관 없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내용을...?

EPUB2와 EPUB3를 잘 비교해보세요. MP3, 동영상이 둘의 구분하지 않습니다. 비교표를 잘 보시면 EPUB3는 EPUB2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이렇습니다.

 

MS-DOS 시절 사용하던 HWP2.0 프로그램은 HWP2012로 만든 한글 문서를 읽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HWP2012프로그램은 HWP2.0 문서를 읽을 수 있지요. 

 

EPUB3도 마찬가지예요. EPUB2로 만든 전자책은 EPUB3로 만들 수 있습니다.

EPUB2는 텍스트와 이미지, EPUB3는 MP3, 동영상이 포함된 콘텐츠로 둘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고, 파일의 구조 차이입니다. 그러니 EPUB2로 된 파일은 EPUB3로 변환이 가능한 것이지요.

 

이게 왜 필요할까요?

어차피 EPUB3 뷰어에서 EPUB2 파일도 볼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왜 변환할 일이 있을까요?

 

제작 작업을 하다 보니 이런 일이 필요할 때가 생기더라구요.

 

왜 변환이 필요한지 설명을 하려면 또다시 기술적인 내용이 조금 들어가야 되는데... ㅜ.ㅜ

 

EPUB2는 아주 오래된 버전이에요. 그래서 요즘 나오는 스마트폰서 구현 가능한데 표준이 따르지 못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ruby, mark, aside 등의 태그처럼이요.

 

 

루비ruby

태그는

***

를 위해 만들졌는데 활용도가 다양해요.  루비, 일본어 라는 단어 위에 영문 표기와 *표를 붙인게 보이지요? 시중에 나온 책중에 이런 편집이 많이 있습니다. 이걸 해주는게 ruby 태그예요.

 

mark

는 형광펜 스타일을 쉽게 표현해 줍니다. mark라는 단어에 적용된 노란색 바탕을 표현하려면 CSS로 배경색 스타일을 지정하고 span 태그로 스타일을 적용해 줘야 하는데, mark 태그를 사용하면 <mark>mark</mark> 이렇게 간단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aside는 주석을 표현하면서 설명을 한 적이 있습니다.(http://epubguide.net/135) aside가 주석을 위한 태그는 아니예요. 의미적 마크업(Semantic Markup)이라고 해서 section, nav, aside 등의 태그가 새로 추가됐는데 aside가 주석을 표현할 때 유용해서 다른 태그보다 사용을 많이 합니다.

 

이런 태그는 EPUB2에서 사용하면 오류가 납니다. 원칙을 철저히 지키면 사용할 수 없는 태그예요. 그런데 전자책을 제작하다 보면 이 태그들이 꼭 필요합니다. mark 태그는 스타일로 대체할 수 있다 해도, ruby와 aside는 대체가 어렵거나 대체하려면 코드가 엄청 복잡해지거든요.


그러다 보니 EPUB2 파일로 제작을 할 때 이런 태그를 쓰게 됐고, 국내 유통사들은 출판사의 요청을 받아서 이런 태그가 문제 없이 뷰어에서 표현되도록 해놨습니다.

 

여기엔 논란의 소지가 조금 있어요. EPUB2 표준을 위반해서 이런 태그를 사용해도 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표준 위반이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설명하자면 표준문서 항목까지 열거하며 must, should, recommand 등의 단어 의미까지 따져야 하니 간단히 설명을 드릴게요.

 

법에 보면 상위법과 하위법이 있잖아요. 전자책을 만드는 표준에도 상위, 하위 법이 있어요. EPUB은 W3C라는 단체가 만든 웹표준을 지키고 있습니다. W3C의 웹 표준이 '헌법' 같은 상위법이에요. 그리고 EPUB 표준은 민법, 상법 같은 하위법입니다. 민법, 상법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내용이 있다면 상위법인 헌법을 따르지요? 

 

EPUB2는 웹 표준의 하위법입니다. 하위법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인데 시대가 변하면서 필요해 졌고, 그게 상위법에 나와있다면 하위법(EPUB2)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상위법(웹표준)을 따르는게 맞겠지요.

 

EPUB2 표준에서는  ruby, aside, mark 같은 태그에 대해 명확히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XHTML1.1을 따른다고 했으니 문제의 소지는 있지만 뷰어가 이런 태그들을 표현하면 안된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그러니 국내 유통사가 EPUB2에서 지원하지 않는 ruby, aside, mark 등의 태그를 지원해도 표준에 위배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족이 정말 길어졌는데, 중요한건 여기부터!!!

 

EPUB2에 ruby나 aside 태그를 사용하면 EPUBCheck에서 오류가 납니다. 국내 유통사는 문제되지 않아요. 오류가 나도 이런 태그들은 허용을 하거든요. 그런데 구글 플레이북 같은 플랫폼에서는 EPUBCheck에서 오류가 나는 콘텐츠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IDPF의 표준을 따라 ruby 태그로 글자 위에 점이나 영문설명을 넣거나, 팝업 주석을 넣으려면 EPUB3로 만들어야 하는데 국내 유통사 중 EPUB3 파일을 받지 않는 곳이 많아요. EPUB2로 팝업 주석을 넣고 ruby 태그를 쓰면 구글 플레이북에는 유통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국내 유통을 위해서는 EPUB2로, 구글에 등록하려면 EPUB3로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거지요. 

 

그럼 시길에서 EPUB2 파일을 EPUB3로 어떻게 변환을 할까요?

 

궁금하면 다음편을 봐주세요 ^^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17. 5. 29. 10:33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해상도


이미지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D%95%B4%EC%83%81%EB%8F%84


'해상도'의 개념도 모르고 전자책을 만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전자책 만드는데 해상도를 왜 알아야 하냐고 반문을 하신다면, 전자책 만들기 전에 디지털 콘텐츠의 개념부터 먼저 공부를 하세요.

똑같은 EPUB파일이라 해도 어떤 해상도에서 보느냐에 따라 편집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책을 보는 독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기가 무엇인지를 고려해 전자책을 만들어야 합니다. 전자책은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TV등 다양한 화면에서 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고려하지 않고는 만들 수 없습니다.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신경써야 하는게 '해상도'지요.

해상도가 뭔지 안다고 하는 분들 중에서도 해상도의 개념을 제대로 알고 있는 분은 많지 않습니다. VGA, XGA, HD, FHD, UHD 등의 용어가 뭔지 알고 있어도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제대로 알지 못하더라구요. '더 선명한' 화면 정도로 알고 있다면 해상도 공부를 다시 해야합니다.

해상도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간단한 질문.

1. VGA, FHD, UHD 셋 중 어떤 해상도의 화면이 가장 클까요?
2. FHD와 UHD 중 더 선명한 화질의 해상도는?

바보같은 질문이라고 생각하신다면, 해상도에 대해 다시 공부를 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기본적인 질문에 제대로 답변을 하는 전자책 편집자를 찾기 힘들어요. 1번, 2번 모두 UHD라고 답을 하신 분이라면 해상도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분이예요.

1번, 2번 모두 '알 수 없다'가 정답입니다.

해상도 = 화질 이라고 생각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반만 맞습니다. 정확히 얘기하면 '같은 거리에 있는 같은 크기의 화면에서 UHD가 FHD보다 화질이 선명하다'고 해야합니다. 같은 100인치라면 UHD가 선명하지만, 100인치 UHD 보다 10인치 FHD가 화질이 더 선명합니다.

FHD와 UHD는 똑같이 100인치가 될 수도 있고, 50인치 UHD와 100인치 FHD도 있습니다. FHD와 UHD중 누가 화면이 더 크냐는 질문은 질문 자체가 잘못된 것이지요.

어떤 분들은 FHD보다 UHD로 더 큰 화면을 만들 수 있는게 아니냐고 합니다. 이것도 틀립니다. 라스베가스에 가면 CGA보다 낮은 해상도로 만든 400미터짜리 디스플레이가 있습니다.

그럼 전자책으로 돌아와서....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스마트폰은 WXGA급 이상이 대부분입니다. 저가 스마트폰은 WXGA가 많고, 갤S8같은 상위기종은 WQHD급보다 해상도가 높습니다. 해상도는 같은데 화면 크기는 5~6인치고요. 이게 전자책 편집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같은 5인치인데 글자 크기는 WXGA가 WQHD보다 큽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본문 글자 크기를 1em 으로 했을 때 6인치 WXGA는 한 줄에 18자, 15줄이 들어간다면 WQHD는 한 줄에 25자, 30줄이 들어갈 수 있다는 얘기지요. 종이책은 편집자가 한줄에 들어갈 글자 수를 정하지만 전자책은 '해상도'와 화면 크기가 한 줄에 들어갈 글자 수를 정하게 됩니다.

이미지 크기도 해상도와 화면 크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가로 폭 1280픽셀 이미지는 WXGA에서는 화면 가득 보이지만 WQHD에서는 화면의 1/2밖에 안됩니다. 종이책처럼 편집자가 이미지의 크기와 선명도를 마음대로 정할 수 없다는 얘기에요.

전자책의 글자 크기, 한 줄에 들어가는 글자수, 한 화면에 들어가는 줄 수, 이미지의 선명도는 편집자가 정할 수 없습니다. 이걸 정하는건 '해상도'와 '화면 크기'입니다.

전자책을 편집할 때 '종이책'을 기준으로 편집하지 말라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전자책은 절대로 종이책처럼 편집할 수 없습니다. '이 전자책은 1024*768해상도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라는 얘기는 '이 전자책은 2017년에 출시된 최신 휴대폰에서는 엉망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라는 말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니 편집자가 책이 최적으로 보이는 해상도와 화면 크기를 특정해사는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여전히 '종이책'을 편집하던 생각의 틀에 맞춰 전자책을 편집하려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전자책을 만들고 싶다면 '전자책'으로 만드세요. '종이책 같은 전자책'을 만들려고 노력하지 마시고요.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17. 5. 24. 12:32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랜만에 글을 올리네요.

4월 28일에 글을 올리고 거의 한달만입니다. 강의도 있고, 긴급히 제작해야 하는 전자책도 생기고 해서 정신이 없었어요.


오늘은 이미지에 캡션 다는 스타일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CSS가 익숙한 분들이야 별거 아니겠지만, 이미지 캡션이 처음인 분들은 막막할거예요.

방명록에 캡션을 달았는데 몇가지 문제가 생긴다고 해결 방법을 묻는 글이 올라와서 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미지에 캡션이 달린 책을 몇권 봤는데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방식은 이런거였습니다.


<div class="img_style"><img.....></div>

<p class="img_caption"> 캡션 내용</p>

<p>본문</p>


가장 간단한 방법이긴 한데, 이미지와 캡션 한 묶음으로 움직이지 않아요. 그리고 float : left; float:right;를 했을 때 제대로 적용되지 않고요. 캡션 내용이 엄청나게 많아져도 문제가 됩니다. 문의 주신 분은 이 부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셨던 것 같아요.


제가 쓰는 캡션 스타일은 이렇습니다. 샘플파일 다운로드 하면 뷰어에서 확인이 가능해요.


img {

width : 100%;

}


.img_caption {

font-size : 0.7em;

text-align : justify;

display : block;

margin : 0 0.5em 0 0.5em;

}


.img_center {

width : 100%;

text-align : center;

text-indent : 0;

}


.img_left {

float : left;

text-indent : 0;

text-align : left;

margin : 1em;

padding-right : 1em;

width : 45%;

}


.img_right {

float : right;

text-indent : 0;

text-align : right;

margin : 1em;

padding-left : 1em;

width : 45%;

}


<p class="img_right"><img alt="img007" src="../Images/img007.png"/><span class="img_caption">앨리스는 이내 토끼가 부채와 하얀 양가죽 장갑을 찾고 있다는 걸 알아챘다. </span></p>


/*p태그 대신 div 태그를 사용해도 됩니다.*/



줄간격, 여백, 글자색 등 스타일은 편집자가 원하는 대로 수정이 가능하니 책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캡션을 넣을 때 이미지가 들어가는 상자를 하나 만들고 그 안에 이미지와 캡션을 같이 넣어 이미지와 캡션이 항상 한 묶음으로 움직이도록 만들어 놨습니다. 그래서 캡션 내용이 길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더라도 캡션이 본문과 섞이지 않고 이미지 상자 안에 남아있게 됩니다.


샘플파일을 뷰어에서 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문의 주신 분의 설명 내용을 구현해 보려고 캡션을 과장되게 넣어봤습니다.


샘플은 [심야책방 세계문학 시리즈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텍스트를 일부 발췌해 사용했습니다.





이 스타일이 실제 적용된 책입니다.



[시대의창 : 서울, 도시의 품격]



[시대의창 : 권력에 맞선 상상력 - 문화운동 연대기]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17. 4. 28. 18:00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60도 사진을 EPUB3에서 구현해 봤습니다.

구글 API를 이용한 간단한 코드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볼 수 있습니다.




오래 전에 설명을 한 적이 있는 방법인데 교보eBook, 알라딘, 예스24 등의 뷰어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교보eBook 뷰어에서 가장 깔끔하게 보이고요.


이건 구글 API를 이용했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연결돼 있어야 볼 수 있습니다. 구글 스트리트 사진이어서 여행책 만들 때 활용하면 좋을거예요.


하지만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EPUB에 포함된 사진을 보려면 360도 사진용 스크립트가 필요합니다.

three.js(https://threejs.org/)를 이용한 공개되어 있는 360도 사진용 스크립트가 많이 있어 구현을 해 봤는데 교보eBook 뷰어에서 작동이 됩니다.


오늘은 이런게 가능하다 정도만 소개해 드리고, 구글 API를 이용해 구글 스트리트에 있는 360도 사진을 전자책에 넣는 방법, 스크립트를 이용해 EPUB에 포함되어 있는 360도 사진을 전자책에 넣는 방법은 다시 설명드릴게요.


참고로 구글 스트리트에 있는 사진을 넣는 방법은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http://epubguide.net/13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