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내.맘.대.로 2022. 10. 4. 10:45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949 

 

예스24, ‘월간 채널예스’ 젊은 작가 특집호 발간 - 독서신문

예스24가 제작‧발행하는 책 전문 잡지 ‘월간 채널예스’ 10월호가 ‘2022 젊은 작가 특집호’로 꾸며져 독자를 찾는다.이번 호 표지는 지난 8월 예스24 독자 338,807명의 투표로 ‘2022 한국 문학의

www.readersnews.com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22. 10. 4. 10:38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channel/2022/09/25/TG5T5TXPNNENBI7J7QFS5ZBP34/

 

1년 간 1500억 수혈 받은 교보문고, 공간+디지털로 승부수

1년 간 1500억 수혈 받은 교보문고, 공간+디지털로 승부수 코로나 거치며 영업이익 56억→1750만원으로 급감 티켓·전자책 앞세운 예스24 맹추격...리디 등 신생 경쟁사도 교보생명 출신 디지털 전문

biz.chosun.com

 

교보문고는 지난해 취임한 안병현 대표 지휘 하에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안 대표는 작년 6월 2025 비전선포식을 열고 “전사적인 디지털 전환을 통해 2025년까지 도서유통사업을 넘어 지식 및 예술문화콘텐츠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22. 8. 19. 10:38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Sigil 새 업데이트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1.9.2 버전에서는 그동안 기다리던 기능이 추가됩니다.

이제 사용자 스타일시트와 HTML 파일을 만들어 두면

Sigil에서 새 파일을 열 때 자동으로 미리 설정해 놓은 CSS와 HTML 파일을 불러옵니다.

물론, 플러그인 탬플릿이 있긴 하지만,

탬플릿 스타일시트만 원하는 분이라면

탬플릿 플러그인 설정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고정 탬플릿을 만들 수 있어요.

이 기능을 활용하면 [클릭으로 EPUB 편집]을 더욱 편히 사용할 수 있겠네요^^

[클릭으로 EPUB편집]이 뭔지 궁금하시면 교보나 리디에서 검색해 보세요(라는 깨알 광고 ㅋ)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21. 8. 12. 10:01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리디 뷰어는 업데이트 할 때 마다 버그를 새로 추가하는 것 같습니다.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버그레이드예요.

 

예전에는 문제가 있다고 리디 쪽에 보고를 하면 바로 답변이 왔습니다.

뷰어 문제면 뷰어를 개선하고, 콘텐츠 문제면 콘텐츠 문제라고 알려줬지요.

그런데 이젠 몇번을 문의 해도 답이 없습니다. 

집요하겨 수백번 문의를 하는 것도 아니에요. 이 문제로 2~3개월 간격으로 3번 문의한 것 같습니다.

욕을 한 것도 아니고, 그냥 누구나 하는 말투로

 

마진이 안먹는다. 마진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달라.

div로 박스 먹인 후 스타일 적용하면 모두 깨진다. 해결 방법이 있느냐?

 

이정도 메시지를 전했을 뿐입니다.

그런데 아예 답변조차 하지 않네요.

 

전자책 뷰어 검수할 때 주요 유통사 4사(리디, 알라딘, 교보, 예스) 뷰어를 사용하라고 권했는데

이젠 리디는 무시하라고 합니다. 리디에서 문제 생기는건 리디만의 문제고 해결 방법이 없으니까요.

모든 뷰어에서, 심지어 믿고 거르는 예* 뷰어 조차 제대로 표현되는 스타일이 하나도 표현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냐 하면,

 

종이책은 이렇게 보입니다.

 

전자책에서 이렇게 보이는게 정상입니다.

교보, 알라딘, 예스, 리디움, 캘리버 모두 이렇게 보입니다.

 

리디에서 이렇게 보입니다.

 

===========

다른 것도 리디만 문제가 생깁니다.

종이책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전자책으로는 이렇게 보여야 합니다.

리디를 제외한 거의 모든 EPUB 뷰어가 이렇게 보입니다.

 

리디에서는 이렇게 보입니다.

 

=============

무엇보다 여백이 엉망입니다.

 

종이책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위치는 다르지만, 여백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리디북스를 제외한 다른 모든 뷰어가 이렇게 보입니다.

심지어, 모든 스타일 표현이 엉망으로 깨지는 최악의 뷰어 조차 여백은 제대로 적용됩니다.

 

리디북스는 이렇게 보입니다.

 

 

===========

다른 것도 하나 보겠습니다.

책에서 이미지가 나오면, 본문과 이미지 사이에 공간을 둬서 가독성을 높입니다.

이게 좋이책입니다. 이미지 캡션과 본문 사이 빨간 동그라미가 여백입니다.

 

전자책도 이미지 위치는 바뀔 수 있지만 가독성을 위해 본문과 이미지 사이에 여백을 줍니다.

 

 

그런데 리디는 그 여백을 무시합니다.

 

전자책은 편집을 포기하고 본다는 사람들도 있어요.

편집이 너무 엉망이라 텍스트와 이미지만 보이면 된다고요.

이런 분들은 엉망으로 만든 전자책만 봐서 그렇습니다.

전자책도 제대로 편집하면 종이책과 별 차이 없이 예쁘고 깔끔하게 편집이 됩니다.

그런데 리디 뷰어는 업데이트 할 때 마다 편집이 엉망으로 나오네요.

 

리디에서 책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것은, 리디 뷰어 문제입니다.

전자책을 잘못 만든게 아니에요.

리디 뷰어는 믿고 거르세요.

검수 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엉망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20. 7. 31. 10:04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독자 “비싸” vs 출판사 “적당”…전자책 가격 갑론을박, 원가는 얼마?

“전자책 값, 이제는 좀 내릴 수 있는 거 아닌가요?” “지금도 그렇게 비싼 거 아니에요. 적절한 가격입니다.” 최근 전..

www.donga.com

 

 

한국소비자원이 2월 국내 독자 5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전자책 가격은 종이책의 39.2% 수준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나왔다.

======

저도 같은 주제로 설문을 한 적이 있습니다.

2012년 경이었던 것 같아요. 오래 전이라 기억이 정확하지는 않지만 맥락은 정확히 기억합니다. 책 가격도 십원 단위까지  평균을 냈는데, 정확히 기억 안나 천원 단위(예전에 강의 하면서 썼던 자료를 참고하여)까지 적었습니다.

 

설문은 대상과 설문지 구성에 따라 같은 내용도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소비자원의 패널과 질문지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조사한 패널과 질문은 전자책 서비스를 이용하는 독자와 종이책만 이용하는 독자,

헤비 유저와 라이트 유저로 나눠 설문을 했고, 실제 응답자 수 기준으로 각각 1000명 이상의 표본을 수집했습니다.

 

결과는 신문 기사와 많이 다르게 나왔습니다.

결론을 간략히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1. 전자책 독자가 생각하는 전자책 가격

    - 전자책 가격이 비싼가? 그렇다

    - 적정 가격은? 현재 판매 가격의 80% ~ 90% 수준

    - 헤비 유저 : 현재 가격의 90% ~ 현재 가격 수준이

    - 라이트 유저 : 현재 가격의 60% ~ 80% 수준

 

2. 종이책 독자가 생각하는 전자책 가격

    - 전자책 가격이 비싼가? 그렇다

    - 적정 가격은? 3,000원 ~ 4,000원

    - 헤비 유저 : 4000원 ~ 5000원

    - 라이트 유저 : 3000원 내외

    - 직전 1년간 1권도 구매하지 않은 유저 : 1,000원 내외

 

3. 독자(전자책, 종이책 모두 포함)가 생각하는 종이책 가격

    - 종이책 가격이 비싼가? 그렇다

    - 적정 가격은? 현재 판매 가격의 80% ~ 90% 수준

    - 헤비 유저 : 현재 판매 가격의 90% ~ 현재 판매 가격

    - 라이트 유저 : 현재 판매 가격의 80% 수준

    - 직전 1년간 1권도 구매하지 않은 유저 : 6000원 수준

 

4. 종이책 가격 대비 전자책 가격이 저렴하다고 생각하나?

    - 헤비 유저 : 많이 저렴하다

    - 라이트 유저 : 저렴한 편이다

    - 책을 구매하지 않는 유저 : 매우 비싸다

 

오래 전이라 정확히 기억은 안나는데 헤비유저는 월 1권 이상 책을 구매하는 독자, 라이트 유저는 연 3권 이내로 구매하는 독자였을거예요.

책을 구매하지 않은 독자는 종이책 가격을 6000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들은 전자책 가격을 1000원 정도로 생각했습니다. 이유는, 실물이 아니라는 것이었지요.

 

책을 많이 읽는 종이책 독자 중 전자책에 관심 있는 독자는 전자책 가격을 5000원 수준이면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했습니다. 당시 종이책 평균 권단가가 12000원 정도였어요.

종이책 라이트 유저는 3000원 수준이면 적당하다고 했습니다.

이들에게 전자책을 구매해 읽을 의사가 있냐고 물었을 때 대부분 종이책을 선호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해도 전자책은 보지 않겠다는 답변이 나왔습니다.

 

반면 전자책 구매 독자들은 현재 전자책 가격의 80% ~ 90% 수준이 적정하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건 종이책 가격이지요.

종이책 가격도 현재 가격은 비싸고 80% 수준이 적정하다는 의견이었거든요.

다시 말해, 종이책 전자책 구분 없이 독자들은 책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현재 가격의 80%~90%가 적당한 가격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헤비 유저일 수록 책 가격을 높게 잡았습니다.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일 수록 책 가격이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

 

전자책 가격이 비싸다는 설문은 항상 나옵니다.

가격 때문에 전자책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말도 안되는 결론을 내리지요.

적정 가격을 물어보면 말도 안되는 금액이 제시됩니다.

 

그런데 패널을 세부로 나눠 설문을 진행하면, 전자책을 돈 주고 사는 독자들 입장에서 전자책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물론, 비싸다는 얘기는 합니다. 하지만 모든 소비자가 모든 물건 가격을 비싸다고 생각하는 수준에서 전자책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지요.

 

종이책 헤비 유저가 전자책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가격 때문이 아닙니다.

종이책을 좋아하고, 다 읽은 책은 서가에 꽂아두고 싶어하기 때문에 전자책을 구매하지 않는거예요.

그러니 전자책 가격이 낮아져도 이들은 전자책을 구매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물론, 20,000원 짜리 종이책을 1,000원 쯤에 판매한다면 구매할거예요. 하지만 이렇게 전자책을 판매할 출판사는 없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20. 7. 21. 09:23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goodereader.com/blog/reviews/unboxing-the-hisense-q5-rlcd-android-tablet

 

Unboxing the Hisense Q5 RLCD Android Tablet

Hisense has released their first tablet with an transflective LCD display. It needs ambient light reflection to achieve screen clarity, so you need a light source. There is no backlight display, so unlike traditional LCD screens, there is nothing shining i

goodereader.com

 

주류를 이루는 전자책 단말기는 EPD, e-ink라는 상표명으로 더 알려진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제품입니다. 킨들, 리디 페이퍼, 크레마 등이 EPD를 사용하지요.

EPD는 인쇄와 유사한 방식, 그리고 해상도를 제공해 책을 볼 때 좋지만 반응속도가 느리고 화면에 잔상이 많이 남습니다. 책 보는 용도 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기 어렵지요. 20~30만원대 기기를 책만 보자고 살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Hisense Q5는 EPD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화질이 어떨지 궁금하네요.

Hisense Q5는 LCD입니다. 그런데 백라이트가 없어요. 지금 보고 있는 모니터나 휴대폰에 백라이트를 꺼보세요. 그래도 희미하게 내용이 보일거예요. LCD나 LED도 백라이트 없이 내용을 표시합니다. 다만, 읽기 힘들 정도로 어두울 뿐이지요.

 

요즘은 많이 쓰이지 않지만, LCD 전자시계 기억하는 분들이 계실거예요. LCD 계산기는 지금도 많이 쓰지요.

LCD 전자시계, 계산기의 LCD 화면은 백라이트가 없어도 글자가 잘 보입니다. 흰색을 표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배경을 검은 색으로 만들 필요가 없어 가능한 방식입니다.

LCD 배경이 은빛에 가깝고, 글자는 굵은 검정색으로 되어 있지요. 

 

화소도 엄청 크지요. 200ppi, 300ppi 수준이 아니에요. 회사원들이 많이 쓰는 탁상용 계신기는 화소 하나가 가로 2~3mm, 세로 5~10mm 정도로 일반 디스플레이의 화소와 비교하면 축구공과 축구장 만큼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백라이트 없이 밝은 곳에서도 글자가 잘 보입니다.

 

제가 차고 있는 Suunto Ambit의 디스플레이도 RLCD예요. 이건 화소가 전자계산기 보다 작아요. 그래도 200ppi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 LCD를 디스플레이로 만든게 RLCD입니다. 중국의 한 업체가 이 기술을 발전시켰나봅니다.

 

RLCD는 백라이트가 없어 책을 볼 때 눈이 편안하고, 반응 속도도 EPD보다 빠릅니다. 동영상도 볼 수 있는 수준이지요. 백라이트가 없으니 EPD만큼은 아니어도 배터리가 오래 갈 것 같습니다. EPD보다 더 선명한 컬러 지원도 됩니다. 다만, 얼마나 밝게 보일지는 의문입니다. LCD 특성상, 어두운 새벽녘에 글자를 보는 듯한 느낌이 아닐까 싶어요.

 

이 기술이 적용 된 기기가 출시되었으니 확인해 볼 수 있겠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