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Sigil 새 업데이트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1.9.2 버전에서는 그동안 기다리던 기능이 추가됩니다.
이제 사용자 스타일시트와 HTML 파일을 만들어 두면
Sigil에서 새 파일을 열 때 자동으로 미리 설정해 놓은 CSS와 HTML 파일을 불러옵니다.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리디 뷰어는 업데이트 할 때 마다 버그를 새로 추가하는 것 같습니다.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버그레이드예요.
예전에는 문제가 있다고 리디 쪽에 보고를 하면 바로 답변이 왔습니다.
뷰어 문제면 뷰어를 개선하고, 콘텐츠 문제면 콘텐츠 문제라고 알려줬지요.
그런데 이젠 몇번을 문의 해도 답이 없습니다.
집요하겨 수백번 문의를 하는 것도 아니에요. 이 문제로 2~3개월 간격으로 3번 문의한 것 같습니다.
욕을 한 것도 아니고, 그냥 누구나 하는 말투로
마진이 안먹는다. 마진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달라.
div로 박스 먹인 후 스타일 적용하면 모두 깨진다. 해결 방법이 있느냐?
이정도 메시지를 전했을 뿐입니다.
그런데 아예 답변조차 하지 않네요.
전자책 뷰어 검수할 때 주요 유통사 4사(리디, 알라딘, 교보, 예스) 뷰어를 사용하라고 권했는데
이젠 리디는 무시하라고 합니다. 리디에서 문제 생기는건 리디만의 문제고 해결 방법이 없으니까요.
모든 뷰어에서, 심지어 믿고 거르는 예* 뷰어 조차 제대로 표현되는 스타일이 하나도 표현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냐 하면,
종이책은 이렇게 보입니다.
전자책에서 이렇게 보이는게 정상입니다.
교보, 알라딘, 예스, 리디움, 캘리버 모두 이렇게 보입니다.
리디에서 이렇게 보입니다.
===========
다른 것도 리디만 문제가 생깁니다.
종이책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전자책으로는 이렇게 보여야 합니다.
리디를 제외한 거의 모든 EPUB 뷰어가 이렇게 보입니다.
리디에서는 이렇게 보입니다.
=============
무엇보다 여백이 엉망입니다.
종이책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위치는 다르지만, 여백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리디북스를 제외한 다른 모든 뷰어가 이렇게 보입니다.
심지어, 모든 스타일 표현이 엉망으로 깨지는 최악의 뷰어 조차 여백은 제대로 적용됩니다.
리디북스는 이렇게 보입니다.
===========
다른 것도 하나 보겠습니다.
책에서 이미지가 나오면, 본문과 이미지 사이에 공간을 둬서 가독성을 높입니다.
이게 좋이책입니다. 이미지 캡션과 본문 사이 빨간 동그라미가 여백입니다.
전자책도 이미지 위치는 바뀔 수 있지만 가독성을 위해 본문과 이미지 사이에 여백을 줍니다.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류를 이루는 전자책 단말기는 EPD, e-ink라는 상표명으로 더 알려진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제품입니다. 킨들, 리디 페이퍼, 크레마 등이 EPD를 사용하지요.
EPD는 인쇄와 유사한 방식, 그리고 해상도를 제공해 책을 볼 때 좋지만 반응속도가 느리고 화면에 잔상이 많이 남습니다. 책 보는 용도 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기 어렵지요. 20~30만원대 기기를 책만 보자고 살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Hisense Q5는 EPD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화질이 어떨지 궁금하네요.
Hisense Q5는 LCD입니다. 그런데 백라이트가 없어요. 지금 보고 있는 모니터나 휴대폰에 백라이트를 꺼보세요. 그래도 희미하게 내용이 보일거예요. LCD나 LED도 백라이트 없이 내용을 표시합니다. 다만, 읽기 힘들 정도로 어두울 뿐이지요.
요즘은 많이 쓰이지 않지만, LCD 전자시계 기억하는 분들이 계실거예요. LCD 계산기는 지금도 많이 쓰지요.
LCD 전자시계, 계산기의 LCD 화면은 백라이트가 없어도 글자가 잘 보입니다. 흰색을 표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배경을 검은 색으로 만들 필요가 없어 가능한 방식입니다.
LCD 배경이 은빛에 가깝고, 글자는 굵은 검정색으로 되어 있지요.
화소도 엄청 크지요. 200ppi, 300ppi 수준이 아니에요. 회사원들이 많이 쓰는 탁상용 계신기는 화소 하나가 가로 2~3mm, 세로 5~10mm 정도로 일반 디스플레이의 화소와 비교하면 축구공과 축구장 만큼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백라이트 없이 밝은 곳에서도 글자가 잘 보입니다.
제가 차고 있는 Suunto Ambit의 디스플레이도 RLCD예요. 이건 화소가 전자계산기 보다 작아요. 그래도 200ppi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 LCD를 디스플레이로 만든게 RLCD입니다. 중국의 한 업체가 이 기술을 발전시켰나봅니다.
RLCD는 백라이트가 없어 책을 볼 때 눈이 편안하고, 반응 속도도 EPD보다 빠릅니다. 동영상도 볼 수 있는 수준이지요. 백라이트가 없으니 EPD만큼은 아니어도 배터리가 오래 갈 것 같습니다. EPD보다 더 선명한 컬러 지원도 됩니다. 다만, 얼마나 밝게 보일지는 의문입니다. LCD 특성상, 어두운 새벽녘에 글자를 보는 듯한 느낌이 아닐까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