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내.맘.대.로 2025. 8. 12. 08:51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하이브리드차 및 전동화 전환 가속화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와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하이브리드차가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차·기아의 하이브리드 모델은 미국 시장에서 판매 호조를 보이며 수익성 방어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도 하이브리드 판매 모멘텀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도주

  • 현대차: 2025년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이 45.3% 급증하며 친환경차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높은 마진율로 인해 미국 관세 부담 속에서도 수익성 방어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기아: 현대차와 함께 하이브리드 판매 호조를 통해 미국 시장에서 역대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전략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2. AI 반도체 및 차세대 냉각 기술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 반도체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발열 문제 해결이 새로운 기술적 과제로 부상했습니다. 이를 해결할 액침냉각유리기판 기술이 AI 시대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으며 관련 소재, 부품, 장비 기업들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주도주

  • SK하이닉스: AI 반도체인 HBM4E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시장 성장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HBM 수요 증가가 실적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될 것입니다.
  • 삼성공조: 데이터센터 내 AI 반도체 발열을 해결하는 액침냉각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액침냉각 기술 표준화 논의와 함께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정부 정책 수혜주 (밸류업, 기업 금융 등)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은 기업의 주주 환원 확대를 유도하며 저PBR(주가순자산비율) 기업들의 가치 재평가를 촉진할 것입니다. 또한 기업 금융 활성화 정책은 증권사의 사업 확대를 지원하여 혁신 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원활하게 할 것입니다.

주도주

  • 하나금융지주: 낮은 PBR과 안정적인 배당 수익률을 바탕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꼽힙니다. 주주 친화 정책을 강화하며 기업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키움증권: 정부의 기업 금융 활성화 방안으로 인해 사업 영역 확대가 기대됩니다. 증시 거래대금 확대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시장 활성화 정책에 따른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중국 소비 회복 관련주 (관광, 화장품, 엔터테인먼트)

2025년 9월부터 시행되는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은 국내 내수 시장에 강력한 활력을 불어넣을 핵심 변수입니다. 관광, 유통, 화장품, 엔터테인먼트 등 소비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도주

  • 롯데관광개발: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의 직접적인 수혜주로, 카지노 사업을 통해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습니다. 관광객 증가에 따른 매출 회복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 코스맥스: 중국 소비자들이 K-뷰티 인디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디 브랜드 화장품의 생산을 담당하는 ODM/OEM 기업인 코스맥스의 수주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및 방산 산업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긴장 심화로 인해 공급망이 효율성에서 안정성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차전지 산업은 현지 생산 확대로, 방산 산업은 해외 수출 확대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시장을 주도할 것입니다.

주도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방산 수출의 선두 주자로,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 속에서 해외 수출 증가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입니다.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핵심에 있는 2차전지 기업으로, 북미·유럽 내 현지 생산 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미국 IRA와 같은 정책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높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내.맘.대.로 2025. 8. 12. 08:47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I. 현대차 2025년 상반기 성과 및 주가 동향 종합 분석



1.1. 2025년 상반기 재무 실적 요약: ‘매출 증가, 수익성 둔화’의 이면 분석

 

2025년 상반기 현대차는 견조한 외형 성장과 함께 수익성 측면에서 복합적인 양상을 나타냈습니다. 1분기에는 매출액 44조 4,07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조 6,336억 원으로 2.1% 증가하여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했습니다.1 그러나 2분기에는 매출액이 48조 2,86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하며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3조 6,016억 원으로 15.8% 급감하며 수익성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2

매출 성장의 주요 동인은 북미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와 더불어 원/달러 평균 환율이 1분기 1,453원, 2분기 1,404원을 기록하는 등 우호적인 환율 효과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됩니다.1 특히, 하이브리드차와 같은 고부가가치 차량의 판매 확대가 매출 증대에 크게 기여했습니다.1 그러나 수익성 둔화는 미국 관세의 본격적인 영향과 글로벌 경쟁 심화에 따른 인센티브 증가, 그리고 판매 비용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2 특히, 자동차 부문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9.5%나 감소하여 핵심 사업부문의 수익성 압박이 심각했음을 시사합니다.4 이러한 현상은 현대차가 외형적 성장을 지속하는 동시에 외부 환경 변화와 내부 비용 관리 압박으로 인해 핵심 수익성(영업이익률)이 약화되는 이중적인 구조에 놓여 있음을 보여줍니다.

 

현대차 2025년 상반기 주요 재무 지표 2025년 1분기 2025년 2분기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매출액 44조 4,078억 원 48조 2,867억 원 +7.3% 2
영업이익 3조 6,336억 원 3조 6,016억 원 -15.8% 2
영업이익률 8.2% 7.5% -2.0%p 4
당기순이익 3조 3,822억 원 3조 2,504억 원 -22.1% 4
글로벌 판매량 100만 1,120대 106만 5,836대 +0.8% 2

 

1.2. 판매량 및 시장별 성과: 미국 시장 판매 호조와 친환경차 전략의 결실

 

2025년 상반기 현대차의 글로벌 판매량은 1분기 0.6% 감소, 2분기 0.8% 증가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정체된 모습을 보였습니다.1 그러나 이러한 전체 판매량의 흐름 속에서도 미국 시장에서의 성과는 두드러집니다. 현대차는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47만 6,641대를 판매하며 역대 상반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수치입니다.6

이러한 미국 시장의 성장은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의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현대차의 전체 판매량이 소폭의 변동성을 보이는 상황에서, 미국 시장의 견고한 성장은 전체 실적을 지탱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은 장기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하는 동시에, 미국 관세의 영향이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시장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미국 시장의 견고한 판매량은 하반기 주가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겠지만, 관세라는 비용적 압박이 동반된다는 점에서 매출과 수익성의 괴리 현상을 심화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1.3. 주가 흐름 및 밸류에이션 현황: 외부 변수에 취약한 주가 흐름

 

2025년 상반기 현대차의 주가는 실적 발표 시점마다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매출은 증가했지만 수익성이 둔화되는 상반된 실적 내용이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SK증권은 2025년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를 2.4조 원의 관세 관련 비용 증가를 반영하여 13.7% 하향 조정했습니다.7 이에 따라 목표주가를 기존 33만 원에서 27만 원으로 하향 조정하는 등 시장 전반의 보수적인 접근을 선도했습니다.7

이러한 주가 하향 조정은 단순한 실적 부진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미래의 불확실성이 이미 가격에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증권사의 영업이익 전망치 하향 조정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도 불구하고, 실제 비용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예측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투자자들이 하반기에도 관세와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현대차의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하이브리드 판매량만으로는 이러한 구조적 리스크를 상쇄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II. 하이브리드차 시장의 독보적 성장과 현대차의 수익성 견인



2.1. 글로벌 하이브리드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 ‘전기차 둔화’의 반사이익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흐름은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2024년 미국 내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은 160만 대를 돌파하며 전년 대비 3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2025년에는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장 점유율이 약 15%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8 이러한 시장의 성장은 전기차 시장의 구조적 불확실성과 맞물려 있습니다. S&P 글로벌 모빌리티는 2025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는 과거 대비 성장률이 둔화된 수치로 해석됩니다.9

이러한 시장 환경 변화는 하이브리드차가 단순한 과도기적 기술을 넘어, 그 자체로 강력한 시장 포지션을 구축했음을 의미합니다. 충전 인프라 부족, 높은 차량 가격 등의 단점을 보완하는 실용적 대안으로 떠오른 하이브리드차는 소비자들의 구매 망설임을 해소하며 강력한 수요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이러한 시장 흐름을 정확히 포착하고 하이브리드차 라인업을 강화함으로써 전기차 시장의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수익성을 방어하는 핵심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2.2. 현대차 하이브리드 라인업의 판매 호조: 미국 시장에서의 압도적 성과

 

현대차의 하이브리드 전략은 특히 미국 시장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현대차의 미국 내 친환경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16.1% 증가했는데, 이는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가 45.3%나 급증한 덕분입니다.6 이와 대조적으로 전기차 판매는 28% 감소하여 하이브리드의 판매 기여도가 더욱 부각되었습니다.6 이러한 판매 호조는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에서 현대차가 2년 연속 '최고의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어워즈' 최다 수상을 기록하며 하이브리드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은 것과 무관하지 않습니다.10

국내 시장에서도 팰리세이드 및 아이오닉 9 하이브리드 모델의 신차 효과에 힘입어 SUV 판매가 성장하는 등 하이브리드 라인업이 전반적인 판매를 견인하고 있습니다.2

 

2025년 상반기 현대차 친환경차 판매량 (미국 시장) 판매 대수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친환경차 총 판매량 18만 715대 +16.1% 6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량 13만 6,180대 +45.3% 6
전기차 판매량 4만 4,533대 -28% 6

 

2.3. 수익성 방어의 핵심 축으로서의 하이브리드: 하반기에도 지속될 ‘하이브리드 모멘텀’

 

하이브리드차는 단순한 판매량을 넘어 현대차의 수익성 방어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차 대비 높은 마진율을 유지하며, 동시에 전동화 전환을 위한 막대한 연구개발(R&D) 및 인프라 투자 비용을 상쇄하는 역할을 합니다.1 이러한 맥락에서 하반기에도 하이브리드 판매 모멘텀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 볼륨을 유지하는 한편 차세대 모델을 투입해 판매 확대의 모멘텀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히며 하반기에도 하이브리드 전략을 강화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12

하이브리드의 성공은 단순히 매출 증대에 그치지 않고, 미국 관세와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한 기업의 손익 방어력을 높이는 구조적인 역할까지 하고 있습니다. 미국 관세로 인해 현대차의 수출 모델은 가격 경쟁력 약화와 함께 수익성 감소를 겪게 되지만, 미국 현지에서 생산되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인기를 끌고 국내에서 수출되는 하이브리드 모델 역시 높은 마진을 유지한다면,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 폭을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반기에도 하이브리드 판매량은 주가에 긍정적인 하방 경직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입니다.

 

III. 전기차·수소차 시장의 구조적 불확실성 심화



3.1. 글로벌 전기차 시장 경쟁 구도 변화: BYD의 부상과 테슬라의 딜레마

 

2025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새로운 경쟁 구도로 재편될 전망입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25년 전 세계 배터리 전기차(BEV) 시장에서 중국의 비야디(BYD)가 테슬라를 제치고 판매량 기준 1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13 이는 BYD가 독자적인 블레이드 배터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초고속 충전 시스템과 수직 통합된 공급망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기 때문입니다.13 반면, 테슬라는 평판 및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 시장에서의 판매 둔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13

이러한 시장 변화는 현대차에게는 기회이자 위협으로 작용합니다. 테슬라의 흔들림은 현대차에게는 상대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의 기회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BYD라는 새로운 강력한 경쟁자의 부상을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현대차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2위(7.8%)를 기록하며 선방하고 있습니다.14 이는 현대차의 제품력과 브랜드 인지도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증거이며, 하반기 전망은 BYD의 공세에 대응하면서도 테슬라의 약점을 파고드는 전략적 민첩성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2. 정책 변화에 따른 시장 리스크: 미국 IRA 및 국내 보조금 정책의 영향

 

전기차 시장은 각국의 정책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미국 IRA 보조금(30D)은 2025년 말로 종료될 예정이며, 이는 2026년 이후 미국 전기차 시장의 수요를 위축시키는 주요 리스크 요인입니다.15 이로 인해 현대차는 조지아 전기차 전용 공장(HMGMA) 완공 시점을 2025년 하반기로 앞당기며 IRA 보조금 지급 요건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14

한편, 국내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국산차에 유리한 방향으로 개편되었습니다. 2025년 개편안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 속도가 빠른 차량에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고, 제조물 책임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등 안전성 기준을 강화했습니다.17 이러한 기준은 일부 해외 제조사들에게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의 전기차 판매를 어느 정도 방어해 줄 수 있는 여지를 마련했습니다.18

이러한 정책적 불확실성과 변동성은 전기차 판매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반면, 하이브리드 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전기차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고 하이브리드 성과에 더 큰 가중치를 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3.3. 수소차 시장 위축과 현대차의 대응 전략: 상용차로의 피보팅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수소차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27.2% 역성장하며 위축된 모습을 보였습니다.19 이는 수소 충전 인프라 부족, 높은 차량 가격, 제한된 보조금 등 구조적인 제약 때문입니다.19 현대차는 넥쏘 판매 부진으로 전년 대비 31.9% 판매가 감소했으나, 시장 1위 자리는 유지했습니다.19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현대차는 전략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넥쏘와 엑시언트 트럭을 통해 상용차 부문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업체들의 상용차 중심 전략과 궤를 같이합니다.19 또한, 정부 역시

청정수소 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하는 등 수소 생태계 확대를 위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20 수소차 부문은 단기적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어려운 사업이지만, 현대차의 전략 전환과 정부의 지원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라는 측면에서 기업의 밸류에이션에 중요한 요소로 남을 것입니다.

 

IV. 한미 관세 협상 결과가 현대차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 분석



4.1. 관세 협상 타결 내용 및 의의: ‘부분적’ 리스크 해소와 ‘본질적’ 경쟁력 약화

 

2025년 7월 31일, 한미 양국 간 관세 협상이 타결되어 8월 1일부터 부과 예정이던 25%의 상호 관세율이 15%로 인하되었습니다.21 이 합의는 자동차 및 부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25%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했다는 점에서 단기적인 리스크를 일부 해소하는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됩니다.23 그러나 이면을 살펴보면, 이 합의는 현대차의 경쟁 환경을 본질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는 구조적 문제를 남겼습니다. 경쟁국인 일본과 EU 역시 미국과 15% 관세율에 합의했기 때문에, 과거 2.5%였던 관세율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경쟁사 대비 10%포인트 이상 높은 관세 부담이 존재하게 됩니다.24 이는 협상 타결이 직접적인 위협을 제거했지만, 동시에 경쟁력 약화라는 구조적인 문제를 남겼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2. 관세 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성 영향: 증권사 전망 하향 조정의 핵심 근거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도 불구하고,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은 2025년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현대차의 수익성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SK증권은 2025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12.0% 하향 조정하면서, 관세와 관련한 비용 증가분 2.4조 원을 반영했다고 명시했습니다.7 이는 실제 관세율이 15%로 낮아지더라도 그로 인한 재무적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근거입니다. 또한, 한미 간 합의에도 불구하고 실제 인하된 관세가 적용되기까지는 행정 절차 지연 등으로 인해 한 달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26 따라서 2025년 하반기 중 일정 기간 동안은 여전히 25%의 관세율이 적용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4.3. 잔존하는 지정학적 리스크: 하반기에도 지속될 ‘통상 환경’ 변수

 

관세 협상 타결에도 불구하고 지정학적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에서 만들면 관세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현대차의 미국 투자(30조 원)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27 이는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이지만, 단기적으로는 관세라는 압박을 통해 현지 생산을 강요하는 통상 압박 기조가 지속될 것임을 시사합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자동차 외에 반도체 등 다른 품목에도 관세 조치를 취할 가능성을 내비쳤는데, 이는 한국 경제 전체의 대외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현대차 주가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28

 

V. 2025년 하반기 현대차 예상 주가 및 투자 의견



5.1. 하반기 예상 실적 추정: ‘하이브리드 모멘텀’ vs. ‘관세 비용’

 

2025년 하반기 현대차의 실적은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긍정적 요인으로는 하반기에도 하이브리드 판매량 증가 추세가 지속되며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며 6, 우호적인 환율 효과(원/달러)가 일정 부분 수익성을 방어하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1 그러나 부정적 요인으로는 미국 관세(15%)로 인한 비용 부담이 하반기 내내 지속적으로 작용하며 수익성을 압박할 것입니다.2 또한, 글로벌 경쟁 심화에 따른 인센티브 증가 추세도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4, 전기차 시장의 불확실성 역시 여전합니다.9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현대차의 하반기 매출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겠으나, 관세 비용과 인센티브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은 상반기보다 더 큰 폭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2분기에 나타났던 수익성 둔화 흐름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5.2. 목표주가 산출 논리 및 근거: 관세 비용을 반영한 밸류에이션 재조정

 

최근 주요 증권사들은 하반기 관세 비용을 반영하여 현대차의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SK증권은 2025년 영업이익 전망을 하향하면서 목표주가를 33만 원에서 27만 원으로 재조정했습니다.7 이는 관세 비용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결과이며, 시장의 새로운 컨센서스를 형성하는 중요한 근거입니다. 현재 현대차는 주가순자산비율(PBR) 대비 PER 4배 수준으로 여전히 저평가 상태이며, 자사주 매입 등 우호적인 주주환원 정책이 주가 하단을 지지해줄 것으로 예상됩니다.1

하반기 예상 주가 범위는 하이브리드 모멘텀과 주주환원 정책이 하단을 지지하는 가운데, 관세 비용이라는 불확실성이 상방을 제한하는 구조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향 조정된 목표주가인 27만 원을 기준으로, 시장 컨센서스는 당분간 이 수준에 머무르거나 소폭의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5년 현대차 실적 전망 요약 SK증권 (2025년 4월) 전망 변화 내용
예상 영업이익 12.5조 원 -12.0% 하향 조정 7
영업이익 전망치 하향 근거 관세 비용 증가분 2.4조 원 반영 7  
목표주가 33만원 → 27만원 하향 조정 7
투자의견 매수 유지 7
밸류에이션 근거 PER 4배의 밸류에이션과 주주환원 정책이 하단을 지지 7  

 

5.3. 투자 리스크 및 기회 요인: 불확실성 속에서 찾아야 할 핵심 변수

 

하반기 주가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 관세의 실제 적용 시점 지연 및 예상보다 큰 비용 부담 가능성 7,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소비 위축, 전기차 시장의 경쟁 심화와 정책 변동성 9 등이 있습니다. 반면, 기회 요인으로는 하이브리드 판매량의 예상치를 상회하는 폭발적 성장 6, 우호적인 환율 지속, 지속적인 주주환원 정책 확대 1, 그리고 조지아 전기차 공장(HMGMA)의 완공 시점 구체화 및 조기 생산 가능성 14 등이 있습니다.

 

VI. 결론: 하반기 현대차에 대한 최종 평가 및 전망

 

2025년 하반기 현대차는 하이브리드 모멘텀이라는 강력한 성장 동력을 바탕으로 매출 외형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성공은 현대차가 전기차 시장의 구조적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수익성을 방어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미국 관세(15%)로 인한 비용 압박이 지속되며, 상반기에 나타난 수익성 둔화 기조가 쉽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전기차 및 수소차 시장의 구조적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투자자들은 하이브리드 판매량의 추이를 수익성 방어의 핵심 지표로 삼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최근 주요 증권사들이 관세 비용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 것은 하반기 주가가 단기적으로 상승 모멘텀을 찾기 어려운 구조적 리스크를 반영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2025년 하반기 현대차의 예상 주가는 하이브리드의 성공적인 판매가 하단을 지지하겠지만, 관세 및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상방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의 밸류에이션 하향 조정 국면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펀더멘털을 신뢰하는 투자자들에게는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으나, 단기적인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환경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자료

  1. 현대차, 2025년 1분기 역대 최대 분기 매출 달성... 하이브리드 판매 호조 - 다나와 자동차,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auto.danawa.com/news/?NewsGroup=M&Tab=N1&Work=detail&no=5800688
  2. 현대차, 2025년 2분기 경영실적 발표…3분기 美 관세여파 주목 | 카 ...,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ZbWeCaTNyZ
  3. [2025 2분기 실적] 현대자동차, 분기 매출 신기록…영업이익은 뒷걸음 - 인더뉴스,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inthenews.co.kr/news/article.html?no=74839
  4. 현대차, 2025년 2분기 '매출은 증가, 수익성은 둔화'... 영업익 15.8% - 다나와 자동차,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mauto.danawa.com/news/index.php?Tab=N1&pcUse=n&Work=detail&no=5854989
  5. 현대차, 2025년 2분기 '매출 증가, 수익성 둔화'... 영업익 15.8 ... - Daum,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Vd2CXsFOaD
  6. 현대차·기아, 상반기 美판매 89만대...'역대 최다' - 뉴스후플러스,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whoplu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118
  7. [마켓PRO] Today's Pick : "현대차 영업익 5.2조 감소 예상…목표가 하향" - 한국경제,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86550i
  8. 2025년 미국 전기차·하이브리드 시장 전망과 정책 변화의 영향 - Radio Seoul,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radioseoul1650.com/archives/66543
  9. 2025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 전망: 30% 증가의 배경과 기회 - Goover,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1/go-public-report-ko-7bb3efca-ed52-49db-9650-0fd8accef91b-0-0.html
  10. 현대자동차, '최고의 하이브리드 & 전기차' 2년 연속 최다 수상,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hyundai.co.kr/tv/CONT0000000000175602
  11. 현대자동차 2025년 1분기 실적 심층 분석 : 매출 신기록, 그러나 살펴볼 포인트 - YouTube,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m.youtube.com/watch?v=i4wECR53WIM
  12. 현대차, 2025년 5월 35만 1174대 판매 - 오토뷰,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auto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862
  13. 2025년 전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비야디(BYD)가 테슬라를 제치고 사상 ...,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korea.counterpointresearch.com/2025-global-bev-market-tesla-byd/
  14. [단독] 현대차그룹 미국 IRA 장벽 넘었다, 올해 현지 전기차 판매 58% 늘어 - 비즈니스포스트,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35598
  15. "美 공화당, IRA 보조금 조기 종료 추진…한국 기업 영향은?",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engview/engtv/contents/250513100902953sl
  16. [트럼프2.0] 자동차①美 20% 관세땐 현대차·기아 2조 부담 - DealSite경제TV,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dealsitetv.com/articles/126621
  17. 2025년 #전기차 구매보조금 이렇게 달라집니다 - YouTube,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shorts/D6Z7fdFUX3Y
  18. 2025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 YouTube,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3r1ZWjamInE
  19.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수소차 시장 27.2% 역성장, 현대차는 1위 유지 ...,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8735
  20. 2025년 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 산업통상자원부,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motie.go.kr/attach/down/095a2dda9c864e1d90d751f7668a1117/98bbc9d603a6efa0d0a60942f8f6199a
  21. 한미 관세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자동차·부품 15% - 정책브리핑,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46888
  22. 한-미 관세협상 전격 타결..."자동차 관세 15%"/ [현장+] / 한국경제TV뉴스 - YouTube,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m.youtube.com/watch?v=dM01A-t3A40
  23. 한미 협상 타결…상호관세 25%→15%, 자동차·부품 15% - 세종경제뉴스,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seenews365.com/news/articleView.html?idxno=60957
  24. 초읽기 몰린 한국 자동차… '관세 15%' 받아내도 불리한 게임 - 조선일보,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5/07/29/DGBZ2BLN4BAMPEGGV5OD4ENJ5M/
  25. [속보] 미-EU, 자동차 포함 일괄 15% 관세 합의…“3~4개 국가와 협상 중”/2025년 7월 28일(월)/KBS - YouTube,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Y9xHJVv398M
  26. 車관세 15% 합의했는데… 美, 여전히 25% 물려 - 조선일보,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5/08/08/HUMRQ7QO3NAMPMF7TYVZOJJZFQ/
  27. 현대차, 美에 30조원 투자… 트럼프 “위대한 회사, 美서 만들면 관세 없어”,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5/03/25/MIXLBE3Q5FCLBI5M62GSVHS4RM/
  28. 미-EU, 자동차 포함 일괄 15% 관세 합의…“3~4개 국가와 협상 중” / KBS 2025.07.28.,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Go5wRuHlrVQ

2025.01.06.(월) 증권사리포트 "현대글로비스, 2025년 첫 날부터 기분 좋은 소식으로 출발", 8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nomadand/nomad/contents/250106054416153c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