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화려한 효과는 EPUB3만 가능한게 아닙니다.
EPUB2에도 표준을 지키며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넣을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를 쓰지 않고 CSS만 사용해 효과를 낼 수 있지요.
많은 분들이 이런 '화려한' 효과에 관심을 보입니다.
그런데 '화려한' 효과를 왜 쓰는지 잘 생각해 보셔야되요.
화려한 효과는 책을 보지 않는 사람에게는 '와~' 하는 감탄을 불러내겠지만
글자가 왔다 갔다 하고, 번쩍이고, 네온사인처럼 색이 바뀌면
독자들이 책에 집중할 수 있을까요?
'화려한' 효과는 얼마든지 넣을 수 있습니다. 어렵지 않아요.
EPUB2와 CSS3만 이용해도 본문 위에 벗꽃이 흩날리게 만들 수 있어요.
뷰어에 따라 제한이 있지만 교보, 알라딘, 리디, iBooks등의 뷰어에서 돌아갑니다.
애니메이션 등의 화려한 효과를 찾는 분들이 많아 샘플을 올리는데
이런 화려한 효과가 정말 책에 필요한건지 진지하게 고민을 해 보세요.
제대로 기획을 해서 꼭 필요한 곳에 이런 효과를 넣어야지 기획 없이 '화려함'만 찾는건 독서에 방해가 될 수 있어요.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어제 메일 하나를 받았어요.
전자책을 제작했는데 다른 뷰어에서는 의도한 대로 보이는 책이 네이버 뷰어에서만 이상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마진과 들여쓰기를 px로 줬는데 네이버 뷰어에서만 반영이 되지 않는다.
EPUB은 뷰어에 따라 표현성의 차이는 생길 수 있지만 스타일 자체가 반영이 안될 수는 없거든요.
예를 들어 px 단위를 무시하는 리디 뷰어라도 px로 설정한 값 자체는 반영이 됩니다. 다만 글자크기를 키우거나 할 때 고정값인 px를 가변값으로 강제로 변경해요. px로 설정한 크기는 뷰어의 글자 크기를 바꿔도 변경되면 안되는데, 리디 뷰어는 이를 무시하고 강제로 변경을 시킵니다. 중요한건, px를 일단 반영시키고(여기까지는 표준) 리디의 정책상 px 단위도 뷰어가 강제로 조절을 한다(이건 정책)는 점이에요.
All non-zero coordinate and size values must have specified units. All units defined by CSS1 and CSS2 are supported:
0이 아닌 모든 좌표와 크기 값은 반드시 단위가 명시되어야 한다. CSS1과 CSS2에 의해 정의된 모든 단위가 지원된다.
IDPF는 EPUB2.0.1 OPS v1.0.1에서 CSS1과 CSS2에 의해 정의된 모든 단위를 지원하도록 표준문서에 명시했습니다.
그런데 네이버 뷰어는 px, pt 등의 고정값은 무시를 한다네요.
앞서 설명드린 리디 뷰어처럼 px나 pt를 강제로 가변값으로 변환하는건 정책이지만
전자책에 사용된 고정값 자체를 무시해서 여백이나 글자 크기가 변경되지 않는 것은 표준 위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저도 전자책 제작을 할 때 px나 pt 같은 고정값은 가급적 사용하지 말라고 권합니다.
글자나 이미지에 고정값을 사용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font-size는 글꼴의 크기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font-size에는 em, %, px 등의 값이 올 수 있다. 하지만 글꼴의 크기를 뷰어의 설정에서 조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가변 사이즈(em, %) 사용을 권장한다. 뷰어에 따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른데 일부 뷰어는 강제로 px를 뷰어 설정에 맞추는 경우가 있고, px는 글자 크기를 변경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서 px를 사용하게 되면 일부 글자가 아주 작거나 아주 크게 나올 수 있다.
1em과 100%는 기기의 기본 글꼴 크기에 맞춰진다. 1em이나 100%를 기준으로 하면 크기나 해상도에 관계 없이 가독성이 보장된다. 하지만 px로 크기를 맞추면 5인치의 고해상도 기기에서는 글자가 아주 작게 표현되고, 10인치의 저해상도에서는 글자가 아주 크게 표현되는 등 일정한 크기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글자 크기가 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가 아니라면 px는 피하는게 좋다.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자책을 만들었는데 썸네일에 표지이미지가 보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지금 하지 않으면....' 이란 책의 표지가 초록색으로 보이지요? 두칸 옆에 있게 같은 책이에요.
두 파일은 똑같습니다. 딱 2가지 빼면요.
윈도우에서도 표지가 보이는지 모르겠지만, 맥에서는 표지 설정이 안된 책은 이렇게 보입니다.
표지가 보이지 않는 책을 Sigil로 열어주세요.
표지에 해당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그럼 이렇게 바로가기 메뉴가 뜨고 중간 쯤에 [Add Semantics...]라는 메뉴가 나옵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세요.
[Add Semantics...]의 대화창입니다.
이 대화창에서 [표지]를 선택하세요.
아직 끝이 아닙니다.
표지 이미지 파일도 표지로 등록을 해줘야되요.
표지 이미지 파일을 선택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바로가기 메뉴가 나오면 [표지 그림]을 선택하세요.
뷰어에 따라 표지.xhtml 파일과 표지 이미지 중 하나를 표지로 보여줍니다.
둘 중 하나만 하면 표지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뷰어가 생기니 둘 다 해주시는게 좋아요.
이 두 정보는 opf라는 파일에 저장됩니다.
opf에 표지 정보가 제대로 저장이 되면
탐색기에서 이렇게 표지가 보여요.
그리고 서재에서도 표지가 표시됩니다.
끝으로...
표지 정보를 제대로 넣지 않은 EPUB이 너무도 많아
국내 전자책 유통사에 등록된 EPUB은 opf의 표지 정보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전자책 파일 등록할 때 업로드 한 표지 이미지로 서재 표지 정보를 표시합니다.
그러니 테스트를 위해 유통사 뷰어에 올렸는데 표지정보가 보이지 않아도 걱정 안해도 되요.
물론, 당연히, 반드시 표지 정보를 넣어야 하지만
표지 정보를 깜빡 해도 서점에 서지정보 등록할 때 표지 이미지를 잘 올렸다면 유통에는 문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