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내.맘.대.로 2016. 5. 25. 18:25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매출 5천억대 교보문고, 이익률은 0%대…수익보다 독서에 더 관심


고 신용호 창업자의 '책사랑'…국민 독서량이 나라장래 좌우
책 베껴가도 눈치 주지 마라…연 4000만권 판매 '독보적 1위'

모바일족 증가에 성장 한계…오프라인 단행본 시장 위축
수년간 매출 5000억대서 정체…경영이념이 위기대응 더디게해


기사 모두 보기 : http://goo.gl/AUNnjm



상당히 수긍이 가는 기사입니다. 일방적인 대기업 까기 아니면 3만원보다 비싼 식사 얻어먹었을 듯한 칭찬용 기사들 사이에 간만에 기사다운 기사를 봤네요.


2000년대 초 인터넷 서점들이 벌인 30~40% 할인 경쟁에 참여하지 않았던 탓에 온라인 시장을 기선제압하는 데 실패했다.


-> 판단착오라고 아쉬워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당시 시장 상황에서 교보문고는 이런 선택을 내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할인에 대한 비난, 출판계의 반발, 오프라인과의 마찰 등 다양한 외적 요인때문에 예스24 처럼 발빠르게 온라인 할인으로 뛰어들 수없었습니다. 직원들 모두 '할인'이 필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교보문고라는 브랜드 이미지가 발목을 잡았지요. 결과는 시장점유율로 나타났습니다.


“겉으로는 출판도시로 옮긴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내부에선 미래 먹거리가 불확실하다는 불안감이 팽배했다”고 말했다. 2013년엔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매출이 전년보다 3.7% 줄었고 영업이익도 적자가 났다.


-> 책만으로는 어렵다는 판단은 이미 내려졌습니다. 그렇지만 대안을 찾지도 못한 상황이었습니다. 영업이익 적자야 다른 할말이 있습니다만, 어째든 창사 이래 최초의 적자여서 충격도 컸고요. '변화'가 필요했는데 '어떻게'를 찾지 못했던 시기입니다.


“교보문고 임직원은 하나같이 회사와 서점업을 사랑한다”며 “역설적이지만 이런 문화가 위기를 돌파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


-> '어떻게'를 얘기하다 보면 결론은 항상 '점잖은 문화사업'으로 흘렀습니다. '인문학적 정서가 지금까지 교보문고를 키워 온 원동력이지만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는 데는 오히려 약점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에 공감이 갑니다. 시장에서 19금 로맨스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기 전까지는 19금 로맨스 도서는 베스트 목록에 오르지도 못했습니다. '사업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바보같아 보이겠지만, 조금만 정도에서 벗아나도 고객들이 전화를 걸어 '어떡게 교보문고에서...'라거나 언론에 '교보문고도 다를게 없다'는 식의 기사가 나옵니다. 브랜드 가치를 지키느냐 시장 점유율을 지키느냐의 선택 문제는 답을 쉽게 내리기 어렵습니다. 교보문고는 브랜드 가치에 조금 더 무게를 뒀기 때문에 시장지배력이 조금식 약해졌습니다.


교보문고는 정도를 지키면서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바로드림 서비스는 온라인 고객을 오프라인으로 넘겨주고, '책은 매장에서 보고 주문은 ****(온라인서점)에서 하세요' 같은 지저분한 광고에 현명하게 대처를 한 서비스입니다. 바로드림 센터로 확장하면서 대형매장에 대한 지역 서점들의 반대를 줄이고 매장 운영비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업모델도 개발을 했습니다. 바로드림 센터는 온라인 주문-오프라인 픽업 외에도 지역 독자들이 자주 찾는 책 데이터를 구축해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독자들이 찾는 책을 알면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서 커피를 팔고, 핫트랙스의 문구 상품을 파는 등 더 많은 매출을 올릴 수 있게 됐습니다.


10년 넘게 고민해 오던, 서점에서 벗어나 문화기업으로 확대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몇십년이 지난 후라면 모를까 교보문고는 옷을 팔고, 라면을 팔지는 않을 것입니다. 교보문고 매장은 '문화'라는 카테고리의 상품을 파는 '문화 상품 매장'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커피도 팔던데?', '전자제품도 팔잖아'


이제 커피는 기호식품, 음료가 아닌 문화 상품 카테고리로 들어갔습니다. 수많은 북카페를 보세요. 한잔에 5,000원식 하는 커피는 더이상 커피를 마시려고 사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책과 차(tea)는 아주 긴밀한 연계 상품이 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파는 전자제품을 잘 살펴보세요. MP3플레이어, 카메라, 이어폰/헤드폰, 스피커, 태블릿이 대부분입니다. 이와 관련된 악세사리들을 포함해서요. 이들 역시 '문화'로 포장을 할 수 있는 상품들입니다. MP3 플레이어가 진열된 곳 근처에는 음악 CD를 판매합니다. CD를 구매하는 사람들은 더 좋은 음질을 추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 용도야 어찌됐든, 태블릿은 전자책을 위한 기기로 포장을 합니다.


판매하려는 상품을 '문화'로 포장한다는 것은 기자의 분석처럼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는 데는 오히려 약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이런 기업 하나쯤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돈이 된다고 이곳 저곳 발 뻗어가며 큰 수익을 내는 기업들이 사방에 널려 있잖아요. 시장의 속도보다 느리려 미련해 보이더라도 '문화'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만 바라보며 큰 돈 벌기 보다는 자신의 업을 이어 가려는 기업 한 곳쯤은 있어 줘야 하잖아요 ^^


끝으로... '바로드림'이 잘 되서 뿌듯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