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한자, 외국어 글자가 깨질 때는 폰트를 확인하세요.
전자책을 편집하다 보면 글자가 깨지거나, 특정 글자만 폰트가 적용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글자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현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글자가 네모(□)로 표시됨
2. 라틴 계열 문자가 분리됨
예) ė --> e· / Ń --> N′
3. 한글 자소가 분리됨
예) ᄉᆞᄆᆞᆺ디〮아니〮ᄒᆞᆯᄊᆡ〮 --> ㅅㆍㅁㆍㅅ디아니ㅎㆍㄹㅆㆍㅣ
4. 글꼴이 적용되지 않음
예) '아' 만 글꼴이 적용되고 다른 글자는 시스템 기본 글꼴로 보임
1, 3, 4번은 모두 글꼴 문제입니다.
글꼴에 해당 글자가 없으면 CSS나 시스템 설정에 따라 대체 폰트가 적용되고, 대체폰트에도 글자가 없으면 □로 보이거나 글자가 아예 나타나지 않습니다.
1번은 CSS 글꼴과 대체 글꼴에 글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 나타납니다. 글자 자리에 글자가 아닌 □가 들어가 있는 것이지요.
3번은 옛한글을 표현할 수 없는 글꼴일 때 나타납니다. 기본 글꼴에도 글자가 없고, 시스템 대체 글꼴에도 글자가 없으면 이렇게 보입니다.
4번 역시 글꼴에 없어 생긴 문제이지만, 시스템 대체 글꼴에는 글자가 있어 글자 자체는 제대로 표현되는 것입니다.
3번, 4번은 보는 기기에 따라 다르게 보입니다. PC는 시스템 대체 글꼴이 많아 웬만한 글자는 다 표시됩니다. 그래서 PC에서 볼 때는 4번처럼 보이는데, 스마트폰이나 전자책 전용 기기에서는 3번처럼 보일 수 있지요.
1, 3. 4번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해당 글자가 있는 글꼴로 바꾸면 됩니다.
글자가 있는 글꼴은 어떻게 찾을까요?
Google Fonts
Making the web more beautiful, fast, and open through great typography
fonts.google.com
이런 글꼴 사이트에 들어가 원하는 글자를 넣어보면 됩니다.
글자가 있는 글꼴은 제대로 보이고, 없는 글꼴은 깨져보입니다.

2번은 책을 만들 때 글자를 임의로 조합해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ė 이 글자가 없는 글꼴로 책을 만들다 ė 글자가 필요해 졌을 때, 편집자에 따라 글자가 있는 다른 글꼴을 쓰기도 하지만 e와 ·를 조합해 글자를 만들기도 합니다. 그럼 종이책에서는 ė로 보이는데, 이 글자를 복사해 다른 곳에 붙여 넣으면 조합한 글자가 분리되어 e· 이렇게 됩니다. 이 문제는 유니코드 표에서 ė를 찾아 바꿔주면 해결이 됩니다.
https://symbl.cc/en/unicode/blocks/latin-extended-a/
Latin Extended-A, Ā ā Ă ă Ą, 128 symbols, Unicode Range: 0100-017F (◕‿◕) SYMBL
Latin Extended-A is a block of the Unicode Standard. It encodes Latin letters from the Latin ISO character sets other than Latin-1 (which is already encoded in...
symbl.cc
이런 유니코드 표에서 직접 찾아야합니다.
한자, 라틴 계열 문자, 그 외 외국어 문자에서 글자가 깨지거나 조합한 문자가 많이 나타납니다. 간혹 글자가 없어 이미지로 그려 넣기도 합니다. 그럴 때는 해당 글자가 포함된 글꼴을 찾고, 유니코드에서 글자를 찾아 수정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