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라즈베리 파이 + calibre-web 콘텐츠 서버

내.맘.대.로 2020. 4. 23. 09:30

calibre-web 체험용 서버

 

http://jikji.duckdns.org/

 

* 등록한 콘텐츠는 직지 프로젝트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SF 소설의 EPUB 파일입니다.

몇년 전 직지 프로젝트와 인연이 닿아 EPUB으로 제작했던 직지 콘텐츠를 샘플로 올렸습니다.

================================

Calibre-web도 있었네요.

캘리버는 많이 사용하지 않아 신경을 안썼는데, 그 사이 많이 발전을 했어요 ^^

 

calibre-web 콘텐츠 서버 세팅하는데 10분 정도 걸렸어요.

Raspberry-pi에 Docker로 Calibre-web을 설치해 봤습니다.

 

Calibre-web은 웹용 전자책 서재입니다.

Readium만 썼는데, Readium은 계정 관리 기능이 열려있지 않아 불편했어요.

그런데 Calibre-web은 계정 관리까지 가능하네요.

출판사 전자책 서재 만들어 로그인 기반으로 독자들에게 전자책 서비스를 하고 싶다면

비용 거의 안들이고 웹서재를 만들 수 있을거예요.

 

저는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에 직접 설치를 해도 되지만, Docker가 대세라...

Docker는 10분은 온전히 Calibre-web 설치에 든 시간이에요.

 

https://hub.docker.com/r/linuxserver/calibre-web

자세한 설치 방법은 여기에 있습니다.

 

설치 방법 간단히 설명드릴게요.

먼저  Docker와 Docker-compose를 설치합니다.

 

그리고 docker-compose.yml 파일을 만들어 아래 내용을 복사해 넣으세요.

 

version: "2.1"

services:

  calibre-web:

    image: linuxserver/calibre-web

    container_name: calibre-web

    environment:

      - PUID=1000

      - PGID=1000

      - TZ=Europe/London

      - DOCKER_MODS=linuxserver/calibre-web:calibre

    volumes:

      - [내 환경 설정 파일 경로]:/config

      - [내 콘텐츠 저장 경로]:/books

    ports:

      - 8083:8083

    restart: unless-stopped

 

#######

      - [내 환경 설정 파일 경로]:/config

      - [내 콘텐츠 저장 경로]:/books

* 환경 설정 파일, 전자책 파일의 저장 경로입니다. - /home/myhome/calibre-web/config:/config  이런 식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ports:

      - 8083:8083

* 웹서버 포트를 설정하면 됩니다. 저는 8080을 nextcloud로 써서 8083으로 지정했어요.

 

끝으로, docker-compose.yml이 있는 디렉토리에서

 

docker-compose up -d

 

설치가 끝났습니다~~

 

이제 192.168.0.0:8083처럼 ip주소, 혹은  url 끝에 8083을 넣어 콘텐츠 서버에 접속해 보세요.

 

콘텐츠 DB 위치를 넣으라는 메시작 표시되는데

 

/books 

 

를 넣으면 됩니다.

 

이제 로그인 창이 뜰거예요.

 

ID : admin

PW : admin123

 

캘리버 web 콘텐츠 서버에 로그인 하셨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