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 샘플링] 몸이 달다 - 강백수 2/2 : <ruby> 태그
여기서 설명한 내용들이 전자책 제작에 도움이 될까?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겠지요? 그래서 샘플링을 통해 전자책 제작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제가 직접 제작하는 책들은 종수가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편집을 보여드릴 수 없잖아요. 그래서 베스트셀러나 재미있는 편집을 해볼만한 책을 샘플로 뽑아 스타일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이런 편집은 스타일을 어떻게 만들까?' 고민하고 계신 책이 있으면 방명록이나 댓글로 남겨주세요. 저도 고민해 보고 제가 생각한 방법을 올리겠습니다 ^^
<ruby> 태그는 일본어의 발음기호처럼 글자 위에 발음이나 의미 주석을 달 수 있도록 만든 태그입니다. 이런 주석을 ruby annotation이라고 해요. 그렇다고 주석을 남길 때만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랫쪽 단락(빨간 점선 테두리)을 보면 글자 위에 점이 찍혀있는데 이런 편집을 ruby 태그로 할 수 있습니다.
<style>
rt {
color : #E72D77;
}
</style>
<ruby>짝<rt>•</rt></ruby><ruby>사<rt>•</rt></ruby><ruby>랑<rt>•</rt></ruby> <ruby>그<rt>•</rt></ruby><ruby>녀<rt>•</rt></ruby>
<ruby>태그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본 단어와 주석은 <ruby>태그로 묶이고, 주석은 다시 <rt> 태그로 묶어줍니다. 한 글자씩 묶을수도 있는데 단어의 뜻을 ruby 주석으로 처리해도 됩니다.
<ruby>
짝 /* 이 부분이 본 단어입니다. */
<rt> /* 이 부분이 주석입니다. */
•
</rt>
</ruby>
rt 태그는 CSS 스타일로 꾸밀 수 있습니다. ruby에 스타일을 주면 본 단어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석 스타일만 바꾸고 싶다면 rt 태그에 스타일을 적용하세요.
앞에 정리한 제목 표현과 ruby 태그로 글자 위에 점을 찍은 것까지 적용한 결과를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