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출판정보

전자출판과 교육기술 융합 표준 (EDUPUB) 동향 조사 및 분석

내.맘.대.로 2016. 2. 4. 13:24


전자출판과 교육기술 융합 표준 (EDUPUB) 동향 조사 및 분석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전자출판과 교육기술 융합 표준 (EDUPUB) 동향 조사 및 분석/ 임순범, 정은미, 김성중, 남동선, 박웅영, 은종민, 인용인.
개인저자임순범, 정은미, 김성중, 남동선, 박웅영, 은종민, 인용인
발행사항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5.
형태사항235p: 삽도, 표.
분류기호TR 2015-2
언어한국어
  • 목차

차 례
Ⅰ. 동향 조사 개요 
1. 배경 및 필요성 
2. 조사 내용 및 범위
3. 조사 방법 
Ⅱ. 국내외 EDUPUB 관련 동향 조사 
1. 해외 동향 및 활용 사례
가. EDUPUB과 EDUPUB Alliance 동향
나. 해외 EDUPUB 교육 콘텐츠 활용 사례 정리 
다. 오픈소스 전자책 소프트웨어 개발 현황 
2. 국내 동향 및 관련 사례
가. EDUPUB 관련 동향
나. 국내 전자출판 관련 교육 콘텐츠 활용 현황
3. 시사점 
Ⅲ. EDUPUB 표준 프로파일 분석 
1. EDUPUB 프로파일 
가. 목적
나. EDUPUB 프로파일 주요 내용
2. Open Annotation in EPUB 
가. 공개 주석이란? 
나. Open Annotation in EPUB 
다. 발행(Publishing) 
라. 주석
마. 본체 구조
바. 대상
3. 배포 가능 객체 표준의 목적 및 개요 
가. 배포 가능 객체의 두 상태
4. 스크립트 구성 요소
가. 구성 요소 간 통신 
나. 초기화
다. 이벤트 통신
5. EPUB 스크립트 구성 요소 패키징과 통합
가. 패키지 구성요소 
나. 구성 요소 임베딩
다. 구성 요소 추출
Ⅳ. 조사 결과 및 제언 
1. 디지털 교과서와 EDUPUB 
가. 디지털 교과서 학습 환경 
나. 디지털 교과서의 개방형 유통 모델
2. EDUPUB 기반 교육용 콘텐츠 활용 방안 및 시사점 
가. 콘텐츠 활용 방안
나. 시사점
<부록>
1. EPUB3 EDUPUB 프로파일 
2. EPUB 배포 가능 객체 1.0 
3. EPUB 스크립트 구성요소 1.0 
4. EPUB 스크립트 구성요소 패키징과 통합 1.0 
5. EPUB에서 공개 주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