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UB 제작의 기초/EPUB의 특징

전자책 포멧은 EPUB 뿐이다?

내.맘.대.로 2013. 10. 21. 18:24

EPUB이 전자책 포멧으로 많이 사용된다고 해서 EPUB만 전자책 포멧은 아닙니다. 아마존은 AZW를 쓰고 있고, PDF로 전자책 서비스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그럼 전자책 포멧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PDF - 가장 대표적인 전자책 포멧입니다. 오라일리 같은 출판사는 종이책을 산 사람들에게 PDF를 무료로 제공하기도 합니다.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었고, 가장 대표적인 전자책 포멧이 PDF입니다. 


2. mobi - 아마존 킨들 서비스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모비포켓에서 개발한 전자책 포멧입니다. EPUB의 장점을 그대로 갖고 있고 오랫동안 사용해서 완성도가 아주 높습니다. 저작권이 말소된 전자책(주로 영미권도서)을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에서도 mobi 포멧을 지원합니다.(Kindle 포멧이라고 되어 있는 파일이 mobi 포멧임)


3. lit - 지금은 지원이 중단됐지만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만든 Microsoft Reader로 읽을 수 있는 전자책 포멧입니다. Pocket PC[각주:1]에 기본으로 지원하던 포멧.


4. chm - 역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사용하던 포멧으로 윈도우의 도움말 파일이 대부분 chm 포멧을 사용했습니다. HTML 파일을 컴파일 하고 압축해서 만든 문서로 많은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도움말(HELP) 파일로 사용을 했습니다. 지금도 윈도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5. CBZ/CBR - 만화 포멧. 여러장의 이미지를 ZIP(CBZ) 혹은 RAR(CBR) 파일로 압축해 놓은 파일로 문서 포멧이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코믹 뷰어에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책 포멧에서 빼놓을 수 없는 포멧입니다. 


6. txt - 텍스트 파일이 왜 전자책 포멧일까 하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많은 업체들이 텍스트파일을 전자책 포멧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쳐폰 시절의 전자책은 텍스트파일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파일의 형식을 조금 변형하고, 이미지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자체 태그를 만들어 암호화시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디북스의 전자책 포멧도 이런 형식입니다. 


7. BBeB(Broad Band eBook) - 소니와 캐논에서 개발하고 소니가 처음 개발한 EPD[각주:2]디바이스인 Librie의 포멧으로 사용됐습니다. LRS, LRF, LRX 등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아주 많은 전자책 포멧이 있습니다. HTML도 전자책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XDF 등 XML이나 PDF의 변형을 전자책 포멧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했고 현재는 아마존 킨들 포멧인 AZW포멧과 PDF와 EPUB 두 포멧이 주요 전자책 포멧으로  자리잡았습니다. 

  1. MS에서 만든 모바일 디바이스용 OS로 PocketPC에서 Windows Mobile로 이름을 바꿈 [본문으로]
  2. e-Paper Display. e-ink라고 많이 사용하나 e-ink는 EPD를 생산하는 가장 대표적인 업체 이름이 제품 이름화 된 것으로 정확한 명칭은 EPD임 [본문으로]
반응형